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

운전직 공무원 준비과정 #3 (면접시험) 이번에는 최종 관문이었던 2차 면접시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한다. 나는 그래도 사회생활을 하면서 취업준비와 이직 등 면접을 경험할 기회가 꽤 있었다. 그런데 이번 면접은 느낌이 달랐다. 그야말로 '시험'이라는 느낌이 강했다. 필기시험 합격의 기쁨은 잠시 누리고 공무원 면접준비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내가 지원한 지역의 면접시험은 면접 전에 1) 사전조사서 2) 5분 스피치 두가지를 시간 내에 작성한다. 작성본은 제출하고 5분 스피치의 경우 면접 시작과 함께 면접관 앞에서 발표를 한다. 발표 후 이에 대한 꼬리질문이 있을 수도 있는데 나는 꼬리질문은 없었다. 면접준비는 처음에는 '면접'이 중점이 아닌 '시험'이 중점적이었다. 기출 질문 최대한 수집해서 답변을 달달 연습했고, 답변도 공무원에 맞게 수도없이 다듬.. 2022. 10. 7.
운전직 공무원 준비과정 #2 (필기시험2) 이번엔 운전직 공무원 필기시험 각 과목별 세부적인 공부 내용과 필기 시험을 치뤘던 과정을 이야기해보려한다. 비록 운전직이 행정직 등 타 직렬에 비해 시험과목이 적지만 시험에 지원하는 수험생 모두에게 해당되는 내용이기에 더 세세하게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나는 머리가 좋은편이 아니라는걸 내 자신이 철저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공부방법은 다소 무식하게 반복 또 반복이었다. 자동차구조원리(이*승 교수 커리큘럼) 자동차구조원리는, 물론 내가 운전병으로 근무하면서 차량 점검등 간단하게 하는 정도는 되었지만, 정말 생전 처음보는 내용들 투성이었다.. 그리고 제조사마다 부품명도 다 다르고 내용도 워낙에 광범위해서 정말 쉽지 않았다. 그래서 더 기본에 충실하며 더 무식하게 반복하는 수밖에 없었다. 기본서 인강을 2.. 2022. 9. 30.
운전직 공무원 준비과정 #1 (필기시험1) 이전글에서 내가 '운전직공무원'을 준비하게 된 이유를 이야기했다면 이번엔 내가 어떻게 시험을 준비하고 마쳤는지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이 글은 내가 관련 카페에 합격수기를 쓴 글을 바탕으로 적는다. (아무래도 이제 시간이 지나다보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다..ㅋ) 우선 시험 준비기간은 2020년 8월부터 5월까지 9개월간이었다.(직장을 그만두고 본격적인건 20년 11월부터) 앞 글에서 이야기하였듯 나는 나이가 있었기에 초시에 무조건 합격을 목표로 준비를 했다. 그렇기에 나에게 주어진 기간은 최대 1년이었다.(보통 운전직공무원 채용은 1년에 1번) 그런데 직장을 다니며 4개월정도 준비해보니 이도저도 안될것같은 불안함이 들었다. 결단이 필요했다. 1. 지금까지의 커리어를 모두 다 포기하고 보험없이 시험을 준비하.. 2022. 9. 29.
운전직 공무원을 준비하게 된 이유와 운전직 공무원에 대해..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준비하면서 10년 가까운 시간동안 직업에 대해 참 많은 고민을 끊임없이 해왔다. 나는 한 기업에서 잠시의 이직을 빼면 5년 넘게 근무했었다. 그 기간 동안에도 이 회사를 다니며 나는 앞으로 어떤 인생을 살게 될까 많은 고민을 했다. 그래서 이직도 잠시나마 내가 해보고 싶었던 직무로 해봤었고, 직업 탐색을 위해 '퇴사학교'라는 곳의 아이덴티티 교육도 열심히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수많은 탐색 기간동안 나는 뚜렷한 답을 얻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회사가 스카웃한 옆자리 부장님이 뚜렷한 실적을 내지 못하자 6개월만에 무참히 정리되는 모습을 보았다. 나름 그래도 호의적으로 지내던 사이의 동료가 그렇게 되는 것을 보며, 나 또한 계열사에서 운좋게 실적을 인정받아 조기승진을 하고 본사로.. 2022. 9. 28.